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지역

(39)
구미 금오산...
영주 소백산...
군위 아미산... 아미산은 경북 군위군에 위치해 있는 산으로서,대구 팔공산에서 뻗은 팔공지맥의 끝자락에 우뚝 솟이 있다.전체적인 산세는 능선이 남북으로 뻗어있으며, 북서쪽 끝자락에는 각종기암괴봉, 암릉이 촛대처럼 솟아 있다. 이곳의 암릉은 총5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는데,그 형태가 만물상 같기도 하고, 용아장성의 축소판 또는 작은 설악산이라고 할 정도로 무척 수려하다.또한 마치 분재와도 같이 각각의 바위틈에서 짧게 자란 소나무는 한폭의 수묵화와 같으며, 3봉 암릉 아래에는 남북으로뚫린 동굴이 있는 등 이 산은 팔공산지맥에서 가장 아름다운 산이다. 조망도 무척 우수하여 동쪽으로 보현산, 면봉산, 남쪽으로는팔공산이 보이는 등 막힘이 없다. 아미산이라는 이름은 "높을 아(峨), 산이름 미(嵋) " 자로서, 높은산 위에 또하나..
청송 주왕산... 주왕과 장군의 전설이 곳곳에 배어있는 유서깊은 주왕산은경북 청송군과 영덕군에 걸쳐있는 국립공원이다. 수많은 암봉과 깊고 수려한계곡이 빚어내는 절경으로 이루어진 우리나라 3대 암산의 한곳이다. 1972년 5월 30일 관광지로지정된 후1976년 3월 30일 12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수백미터의 돌덩이가 병풍처럼 솟아있어, 신라때에는 석병산이라 부르다가 통일신라 말엽부터 주왕이 은거하였던 산이라 하여 주왕산으로 불리게 되었다. 주왕산은 대전사에서제3 폭포에 이르는 4㎞의 주방천계곡이 볼 만하다. 청학과 백학이 다정하게 살았다는 학소대, 넘어질 듯 솟아오른 급수대, 주왕이 숨어있다가숨졌다는 주왕암, 만개한 연꽃 모양 같다는 연화봉, 그리고 제1, 2, 3 폭포 등 명소가 즐비하게 자리잡고 있다.
문경 대야산... 대야산은 백두대간에 자리잡고 있으면서 문경의 산들 중에서도그 명성을 높이 사고  있는 명산이다. 대야산은 2002년 세계 산의 해를 맞아문경의 주흘산, 황장산, 희양산과 함께 산림청에서 한국 100대 명산에 올라서 있다.속리산국립공원에 속해 있으며 백두대간의 백화산과 희양산을 지나 속리산을 가기 전에 있다.계곡이 아름다운 산으로 경상북도 쪽에는 선유동계곡과 용추계곡, 충청북도 쪽으로 화양구곡이 있다.용추계곡은 문경 8경중의 하나이며 경북 문경시와 충북괴산군의 경계에 있는 대야산 자락을 흐르는 계곡과 폭포이다.울창한 숲으로 둘러싸인 암반 위를 사시사철 옥처럼 맑은 물이 흘러내리는 계곡에는 무당소, 용추폭포, 월영대 등의 아름다운비경이 숨어 있다. 특히 용추폭포는 2단 폭포로 위쪽에 하트 모양의 깊게 파인 ..
상주 성주봉&남산... 성주봉은 도장산(821m)에서 그리 멀지 않은 남산 줄기의 한 봉우리이다.성주봉(聖主峰, 606,6m)은 문경의 성주봉과 동명이산(同名異山)이다. 두 산의 닮은꼴이우연이 아닌 것은 이름이 주는 성(聖) 스러운 분이기에서 느껴볼 수가 있다. 성주(聖主) 란 성군(聖君)을말하는 것으로 그림 같은 자연미와 암팡진 산세가 주위의 분위기를 압도하기 때문이리라, 문경의 성주봉이나 상주의성주봉 둘 다 이러한 기(氣) 넘치는 분위기를 간직하고 있다. 상주의 성주봉은 높이야 그리 높지 않지만 바위와 어우러진 소나무와기운찬 산줄기, 그리고 깊숙한 골짜기가 한 데 어우러져 자연미 넘치는 산세를 보여준다. 성주봉 정상은 상주와 문경 지역의 조망대 같은곳,정상에 올라서면 속리산을 필두로 청화산, 대야산, 희양산을 거쳐 백화산으..
영주 소백산... 겨울철이면 하얀 눈을 머리에 이어 소백산이라 불리우는 소백산은봄철이면 광활한 능선은 온통 기화요초가 만발하며 국망봉, 비로봉, 연화봉, 도솔봉 등많은 영봉들을 거느리고 있다. 죽계구곡과 연화봉에서 이어진 희방계곡, 북으로 흐르는 계곡들은단양팔경의 절경이되며, 계곡의 암벽사이는 희방폭포를 비롯한 많은 폭포가 있다. 5~6월이면 철쭉군락,여름에는 초원의 야생화, 가을의 단풍, 겨울 눈꽃의 환상적인 자태 등 사계가 아름답다.
구미금오산...
문경 조령산...
영주 소백산...
문경 주흘산&부봉...
문경 중대봉&대야산...
영주 소백산...
문경 조령산...
대구 팔공산...
구미 금오산...
경주 남산 금오봉&고위봉...
대구 비슬산...
영덕 팔각산... 여덟개의 봉우리가 연이어 있는 팔각산(628m)은뿔이 8개 솟았다는 뜻에서 유래된 산 이름이다.흔히 옥계팔봉이라 부르는이 팔각산은 독립된 안봉으로서 산 밑에서 봐도 뛰어난 암골미가 여간 아닌 명산이다.광해군 원년에 이 곳에 숨어들었던 손성을이란 선비는 옥계리 마을주변에 흩어져 있는 계곡미에 반해 침수정을 짓고 팔각산에서 일생을 마쳤다고 전한다.  그가 경치가 아름다운 곳을 골라 이름 붙여 놓은 것이 무려 37경,이 팔각산 37경이 많은 사람들을 불러들여 나무 그늘과 계곡에는 원색의 천막들이 줄지어 있다.이름있는 경치로는 침수정 앞 병풍 모양으로 깍아 놓은 듯한 바위가 병풍바위요, 향로처럼 생긴것이 향로봉이다. 촛대와 흡사한 촛대바위가 있고, 계곡 가운데 꽃봉우리 모양으로 앉은 것이 진주암이다. 들머리 초..
봉화 청량산... 청량산은 경북 봉화군 명호면과 재산면, 안동시 도산면과 예안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연경관이 수려하고 기암괴석이 장관을 이루어 예로부터 소금강으로 불려진 명산이다.기록에 의하면, 청량산은 고대에는 수산으로 불려지다가 조선시대에 이르러 청량산으로 바뀌게 되었으며, 조선시대 풍기군수 주세붕이 청량산을 유람하며 명명한 12봉우리(일명 6.6봉)가 주측을 이루고 있다.청량산에는 지난 날 연대사를 비롯한 20여개의 암자가 있었으며 지금은 청량사 유리보전과   응진전이 남아있다. 또한 퇴계 이황이 공부한 장소에 후학들이 세운 청량사와 통일신라시대 서예가 서성, 김생이 글씨공부를 한 곳으로 알려져 있는 김생굴, 최치원이 수도한 풍혈대, 고려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와서 쌓았다는 산성 등이 있다.
청송 주왕산... 주왕과 장군의 전설이 곳곳에 배어있는 유서깊은 주왕산은 경북 청송군과 영덕군에 걸쳐있는 국립공원이다.산은 그리 높지 않으나 거대한 암벽이 병풍처럼 둘러선 산세 때문에 예부터 석병산, 대둔산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려왔다.주왕산은 대전사에서 제 3폭포에 이르는 4㎞의 주방천계곡이 볼만하다. 청학과 백학이 다정하게 살았다는 학소대,넘어질 듯 솟아오른 급수대, 주왕이 숨어있다가 숨졌다는 주왕암, 만개한 연꽃 모양 같다는 연화봉, 그리고제1,2,3폭포 등 명소가 즐비하게 자리잡고 있다. 주방천의 백미는 학소대부터 1폭포까지, 학소대부터1폭포에 이르는 길이 주방천에서 가장 아름답다. 2폭포와 3폭포가 있지만 규모나폭포를 감싼 바위들의 형국으로 보나 1폭포와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주산지 주차장에서 바라본 절골 절골계..
예천 비룡산... 장안사 쉼터에 있는 탑과 아미타대불 장안사 용왕각 장안사 방향으로 가면서 돌아 본 쉼터 이곳에서 장안산는 100m정도 산아래 있다. 장안사 범종(長安寺 梵鐘閣) 장안사 대웅전(長安寺 大雄殿) 응향전 회룡포 전망대 회룡대 전망대에서 바라 본 회룡포 전경... 마을 뒤쪽 첫번째 봉우리 사이에(하트) 모양이 선명하게 나타나 있다. 회룡포는 낙동강으로 합류되는 물길인 내성천이 휘감아 만들고 있는 육지 속의 섬, 회룡포이다.멋진 풍경으로 반짝이는 하얀 모래 백사장을 감싸며 돌아가는 옥빛 물길의 아름다운 모습이 인상적인 곳이다.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감입곡류하천으로 영월의 청령포와 함께 유명한 곳이 회룡포이다. 회룡포에서 육지로 이어지는 길목은 폭이 80m에 수면에서 15m 정도 높이로 비가 많이 와서 물이 넘치면 정..
상주 상학봉&묘봉... 속세와 이별한다는 뜻을 지닌 속리산(1.075m)은 말할 필요없는 명산이다. 1980년대 까지만 해도 전국 대부분의 중하교에서 수학여행을 법주사, 문장대로 떠 났을 만큼 현재 40대 이상의 중장년층 국민이라면 누구나 한번 쯤은 가본 산이기도 하다. 비록 충북 보은군과 경북 상주시 경계에 있는 부산,울산, 경남에서는 그 만큼 멀게 느껴지지만 유년기의 아련한 추억이 머물고 있기에  다른 산에 비해 친숙한 느낌을 준다.인간 세상의 먼지와 때를 씻어내고 자연과 하나되는 속리산 줄기의 묘봉)874m)를 찾아간다. 속리산 능선가운데 서북쪽 끝트머리에 해당하는 묘봉 코스는 바위산으로 이름난 속리산에서도 특히 기기묘묘한 암릉과 암봉이 발달한 구간으로 분류된다. 그래서 묘봉, 묘봉에서 북쪽으로 뻗은 능선을 따라가보면 ..
괴산 중대봉&대야산... 중대봉은 바로 이웃인 상대봉인 개념으로 붙여진 이름으로,백두대간의 대야산에서 서쪽으로 가지를 치며 달아난다.선유동으로 맥을 가라앉힌줄기의 최고봉이다.중대봉은 산 전체가 하나의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몇년 전까지만해도 전인 미답의 산으로 남아있어지만 최근 암벽을 이용한 코스가 개발되고 위험한 곳에는 로프를 매놓아 완벽한 등산로를 만들어 놓았다. 농바위 마을 입구... 농바위 마을의 마지막집 담장에는 500년이나 되는 느티나무가 노쇠한 모습으로 서 있는데, 이 마을은 손꼽히는 장수마을이다.마을 지반 전체가 신비의 돌이라는 맥반석이 깔려있고 여기서 솟는 물을 먹고 장수한다고 믿고 있다. 곰바위 대슬랩으로 오르는 구간은 로프가 없어 바위벽을 손과 발로 의지해 올라야한다. 곰바위로 오르는 슬랩지대의 암릉구간..
괴산 대야산... 대야산(大耶山, 931m)경북 문경시와 충북 괴산군의 경계를 이룬 대야산은속리산국립공원내에 포함되어 있고, 시원한 계곡과 반석이 특징이다.특히 용추의 기묘한 모습은 보는 이의 탄성을 자아낸다. 대야산 용추계곡은 경북쪽에 있고 충북쪽으로 선유구곡, 화양구곡을 두고 있어 여름철에는 많은 등산객이 찾고 있는 산림청  선정 100대 명산중의 하나이며, 한국의 산하 인기순이는 42위에 랭크되어 있는 명산이다. 대야산은 깍아지른 암봉과 기암괴석이 울창한 수풀로 둘러싸인 아름다운 산세를 자랑하며,이 산의 제일 명소는 무엇보다도 문경8경의 하나인 용추를 꼽는다. 거대한 화강암반을뚫고 쏟아지는 폭포 아래에 하트형으로 패인 소(沼)가 윗용추이며, 이곳에 잠시머물던 물이 매끈한 암반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아랫용추를 빛는다다...
문경 조령산 촛대바위능선... 조령산(鳥嶺山1,025m) 조령산은 백두대간 고개인 이화령(548m)과 조령(643m) 사이에 솟아 있는 산이다.산 동쪽은 경북 문경시, 서쪽은 충북 괴산군에 속하며, 정상 동쪽에는 문경의 진산인 주흘산이 자리잡고 있으며 대간길 이화령에서 정상까지는 전형적인 육산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 정상부터 조령산까지는 완벽한 골산(骨山)의 모습이고 바위가 발달한 곳이 한 곳도 없는 이화령에서 정상까지와는 산세가 완전히 달라지며 골산의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준다. 바위산다운 험한 지형은 신선암봉 일대에서 절정을 이룬다.조령산 촛대바위능선은 다른말로 촛대바위릿지라 불리울 정도로 바위가 많은 구간이다. 지금은 수십게의 빗줄로 안전을 확보하고 있어 문제될일이 없지만, 예전엔  어느정도 암벽 교육을 받은 초보 바위꾼들이 즐겨..
문경 문경새재... 문경새재 도립공원  문경새재는, 원래 백두대간의 조령산 마루를 넘는 재로서, 한강과 낙동강 유역을 잇는 영남대로상의 가장 높고 험한 고개였다.문경새재는 “새도 날아서 넘기 힘든 고개” 풀(억새)가 우거진 고개, 하늘재와 이우리재 사이의 재, 새(新)로 된 고개의 「새(新)재」등의 뜻을 지닌다. 문경새재에는 3개의 관문이 있다.영남 제1관인 주흘관, 남쪽의 적을 막기 위해 숙종 34 (1708년)에 설관하였으며, 3개의 관문 중 옛 모습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다. 영남 제 2관인 조곡관, 제 3관인 조령관, 북쪽의 적을 막기 위해 선조 때에 세워지고, 숙종 34년 (1708)년에 중창되었고 1907년 육축만 남고훼손된 것을 1976년 복원하였다. 이곳은 영남에서 한양으로 통하는 조선시대의 가장 큰길〔嶺南..
문경 백화산... 백화산(白華山 1,063,5m) 충청북도 괴산군과 경상북도 문경시의 경계를 이룬다. 괴산군 안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산에는 잡목이 많고, 골짜기가 깊어 물이 맑다. 백화산이라는 이름은 겨울철에 눈 덮인 산봉우리의 모습이하얀천을 씌운 듯이 보여 붙여진 이름이다. 부근에는 황확산, 이화령, 이만봉(989m), 희양산 등의 높은 봉우리가 많다. 산행은 북쪽의 이화령, 서쪽 연풍면 분지리, 문경읍 오서골에서 각각 오르는 코스가 있는데 이 중에서 가장 평탄하고 편리한 코스는 이화령에서 시작하는 코스이다. 이화령은 수안보 온천에서 가깝다. 이화령에서 2시간 정도 오르면황학산에 이른다. 황학산에서는 남쪽으로 백화산이 바로 보이고, 문경시 하리가 내려다 보인다.이곳에서 남쪽 능선을 따라 오르면 바위지대가 나오고, 이..
청송 주왕산... 주왕산(周王山, 720.6m 경북 청송군과 영덕군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면적 105,582㎢ 1967년에 지정되었다. 주왕산(720.6m)은산세가 우뚝 솟아 있으며 기암절벽과 특이한 경관이 한 폭의 동양화라고 표현 할 정도로 경치가 빼어나다. 태백산맥의 남단에 위치하는 주왕산(720.6)은 암벽으로 둘러싸인   산들이 병풍처럼 이어져 석병산(石屛山) 또는 주방산(周房山) 이라고도 한다. 주왕산이라는 이름은 중국의   진나라에서 주왕이 이곳에 피신하여 왔다고 해서 붙은 것으로 산봉우리 암굴마다 주왕의 전설아 얽혀 있다. 주요 명소로는 신라 문무왕 때 창건한 고찰 대전사(大典寺)를 비롯해 주왕의 딸 백련공주의이름을 딴 백련암(白蓮庵), 청학과 백학이 둥지를 틀고 살았다는 학소대(鶴巢臺), 앞으로 넘어질 듯 솟..
상주 구병산... 청원~상주간 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속리산 휴게소에서 바라 본멋진 암봉들이 병풍을 두르듯 펼쳐진 아름다움이 알려지게 되면서 구병산은갈수록 인기를 얻어가고 있다. 속리산과 함께 충북알프스로 묶여 있는 100대 명산의하나 이지만 코 앞의 명산인 속리산에 가려 외면 되고 있는 외로운 명산이다. 산행들머리 적암리 마을을 지나 임도따라 오르다보면 충북알프스 구병산의 이정표가 나오고... 신선대에서 바라 본 속리산 휴게소와 KT위성기지국이 내려다 보인다. 안부삼거리 이정표...왼쪽으로 가면 구병산 방향 이고 오른쪽은 거쳐온 신선대 방향... 암릉에 올라 바라 본 924봉과 그 뒤에 봉이 신선대... 암릉위에서 바라 본 824봉 조망... 우측부터 853봉과 815봉, 백운대, 구병산 방향 조망...  853봉으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