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남도지역

무주 무룡산...

 

덕유산 주봉은 1,614m의 향적봉이다.

경남 거창군과 전북 무주군 안성면, 설천면의 경계에 솟아 있으며,

북덕유산(향적봉)과 남덕유산(1,507m)으로 나뉜다. 주봉인 향적봉에서 시작해 남으로 중봉,

덕유평전을 지나 무룡산과 삿갓봉을 거쳐 남덕유산에 이르는 장장 100리에 걸친 산으로 덕유산맥으로도 불린다.

계곡은 총 8곳이 있는데, 특히 북동쪽 무주와 무풍 사이를 흐르면서 금강의 지류인 남대천으로

흘러드는 길이 30㎞의 무주구천동은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진 명소다.

 

덕유산은 1975년, 오대산과 더불어 국내 10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태백산에서 이어진 백두대간이 서남쪽으로 뻗으면서 소백산, 속리산 등을 솟아오르게 한 후, 

 다시 지리산으로 가는 도중 그 중심부에 빚어놓은 또 하나의 명산이라고 할 수 있다. 13개의 대(臺),

10여 개의 못, 20개의 폭포 등 기암절벽과 여울들이 굽이굽이 이어지는 구천동계곡에는

 예로부터 선인들이 이름붙인 33경으로 덕유산의 아름다움을 대표한다.

 

육십령에서  동엽령까지 남덕유로 불리고, 남덕유의 주봉은 장수덕유(서봉)1,570m다.

남덕유 구성은 무룡산, 삿갓봉, 남덕유, 장수덕유, 할미봉으로 구성된다.

 옛날에는 남덕유산 또는 서봉을 봉황산이라 하여 매우 신성시했다.

 

삿갓골 대피소

 

삿갓재 대피소에서 바라본 삿갓봉 방향

 

삿갓봉(1.429m)

 

진행 방향의 무룡산(1.492m)

 

무룡산 방향으로 진행중에 돌아본 삿갓봉과 그 뒤로 남덕유산

 

조망처에서 본 (좌)금원산과 기백산

(우)수리덤(칼날봉)과 월봉산 중앙 멀리 황석산의 모습

 

삿갓봉 뒤로 남덕유산과 고개를 살짝 내밀고 있는 서봉을 바라본 조망

 

삿갓봉, 남덕유산, 서봉

 

조망처에서 바라본 무룡산

 

나무계단길에서 올려다본 무룡산 정상 풍경

 

맨 뒤에 남덕유, 서봉이 보이고 그 앞에 뾰족한

산이 삿갓봉, 삿갓봉 바로 아래 삿갓골재 대피소가 있다.

  7월에는 이 데크구간 양 옆에 노란 원추리가 빼곡하게 피어난다.

 

고도가 높아 질수록 멀리 지나온 삿갓봉 방향

뒤로 남덕유산, 서봉이 장쾌한 모습으로  펼쳐져 다가온다.

 

무룡산 정상

 

(중앙)에 수막령과 금원산, 기백산이

 (우측) 끝 남령에서 오르는 수리담(칼날봉),월봉산 조망

 

손바닥 바위

 

경상남도 거창군의 북상면 산수리와 전라남도 무주군 안성면 죽천리 사이에 위치한

  해발 1.492m의 산이다.남덕유산에서 북쪽으로 산줄기가 이어져 삿갓봉과 무룡산을 이루며 북쪽에

   동엽령이 있고 산의 동쪽사면에서 산수천이 발원하여 산수계곡을 이룬다. 무룡산은 조선시대에 불영봉(佛影峰),

 불영산(佛榮山)이라고도 불렀다. 무룡산 지명은 용이 춤추는 산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으며, 옛지명인

불영산은 부처님의 그림자가 비친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고 한다.

 

무룡산 정상에서 바라본 북덕유(향적봉)

 

지나온 (좌)무룡산과 (우측) 방향으로 삿갓봉, 남덕유산, 서봉 조망

 

조망처에서 바라본 가림봉(좌측)

 

능선길과 이어진 (우측)가림봉과 먼 뒤로는 덕유산 향적봉을 바라봅니다.

 

가림봉(돌탑봉)

 

가림봉에서 지나온 능선 따라 무룡산, 삿갓봉, 남덕유산, 서봉을 돌아본 조망

 

가림봉에서 동엽령 진행 방향으로 바라본 북덕유산

 

국내 대표적 눈꽃 감상지로 꼽히는 덕유산 백암봉-중봉-향적봉-설천봉에

이르는 정상부에는 눈부신 자연의 신비가 펼쳐진다.덕이 많고 너그러운 모산(母山)

이라는 이름답게 정상인 향적봉을 중심으로 펼쳐진 장중한 능선이 시원스런 풍광을 보여준다.

 

지나온 능선 넘어 돌아본 가림봉

 

조망처에서 바라본 동엽령 뒤로 백암봉, 중봉, 향적봉과

(좌측)은 가세봉 (우측)으로 뻗은 능선은 귀봉-지봉-신풍령으로 가는 능선이다.

 

능선을 따라가면 송계삼거리인 백암봉에서

귀봉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 능선이 하늘금을 긋는다.

 

덕유산의 옛 고개 중 동엽령1.320m은

 깊은 산중에 있는 덕에 그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경상도와 전라도 지방의 토산품을 교역하기 위해 넘나들던 재이다.

재로 오르는 병곡 대하골(현재 거창군 북상면 병곡리)에는 옛날 동엽이재를

넘나들던 나그네를 위해 술을 빚어 팔았다고 하는 주막터가 있다. 전북 무주군 안성면

통안리 칠연계곡 경남 거창군 북상면 병곡리를 잇는 고개이다.

 

동엽령 풍경

 

동엽령 이정표에서 바라본 안성 방향

 

안성탐방지원센터

 

'경상남도지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녕 화왕산...  (0) 2017.04.28
진해 장복산&천자봉...  (0) 2017.03.15
함양 육십령&남덕유산...  (0) 2016.12.28
합천 가야산...  (0) 2016.12.27
합천 해인사...  (0) 2016.12.26